백내장 인공수정체 종류 다초점 단초점

안녕하세요, 서울소재 대학병원 망막전문의 <모두의 망막> 입니다.

 

백내장 수술과 함께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을 권유받으셨다면, 아마 인공수정체에 대해 많이 궁금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자주 질문하시는 인공수정체 (단초점, 다초점)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변해 드립니다.



 

Q1. 인공수정체는 무엇인가요?

A: 인공수정체는 수술로 제거된 혼탁한 수정체를 대신하는 일종의 인공장기입니다.

모든 백내장 수술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인공수정체를 눈 안에 삽입합니다.

 

백내장 수술의 목적은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수정체를 제거하고 나면 본래 수정체가 수행했던 기능은 소실됩니다.

 

수정체가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은 빛을 모아서 초점을 맞춰주는 것입니다.

 

즉, 카메라 렌즈의 역할과 같습니다. 따라서 수정체가 없으면 빛을 모으지 못해 초점을 맞추지 못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제거한 수정체를 대신할 인공수정체를 삽입해야 합니다.

 




Q2.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무엇인가요?

A: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초점을 여러개 가지는 특수한 인공수정체 입니다. 

가까운 물체를 볼 때 우리 눈 속 수정체는 스스로 더 두꺼워져서 초점을 가까운 거리에 맺히게 하고, 멀리 볼 때는 수정체가 스스로 얇아져 초점을 먼 거리에 맺히게 합니다.

 

이를 "조절"이라고 합니다.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흔히 "노안"이라 부립니다.

그런데 인공수정체는 일종의 화합물로 스스로 두께를 조절할 수도 없고, 뇌로부터 "가까이 혹은 멀리 본다" 라는 신호를 전달받을 수도 없습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백내장 수술을 받으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작용을 상실하게 됩니다. 완전한 "노안"이 되는 것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다초점 인공수정체입니다. 광학 현상 중 하나인 "회절" 현상을 이용해서 초점 거리를 여러개 형성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노안"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회절 현상을 이용하여 빛을 나누어 여러 초점을 형성시킵니다. 따라서 각 초점에 들어가는 빛의 세기가 더 약해져 어두워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회절이라는 광학 특성으로 빛이 퍼지기 때문에 빛번짐 같은 불편감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만능이 아닙니다.

 

장점이 많고 최근에는 위와 같은 단점들이 많이 보완되었지만, 여전히 다초점 인공수정체 사용은 환자와의 충분히 상의가 선행되어야 하며 환자의 생활패턴, 망막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모든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아직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비용도 감안을 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Recent posts